작년(2024년) 4월부터 임신 준비 부부(사실혼, 예비부부 포함)라면, 소득수준 및 거주지역에 관련없이 필수 가임력 검사비 여성 13만 원(난소기능검사, 부인과 초음파), 남성 5만 원(정액검사)을 지원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임신 준비 중이라면 필독!
보건복지부에서 시행하는 필수 가임력 검사 국가지원 사업인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임신 준비, 왜 가임력 검사가 필요할까?
- 초혼 연령 상승과 함께 난임 문제 증가
-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위해 사전 건강관리 필수
- 정부 지원으로 부담 없이 검사 받을 수 있는 기회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소개
- 시행일 : 2024년 4월 1일부터
- 지원대상 : 20~49세 남녀(결혼, 자녀 여부 불문)
- 지원횟수 : 최대 3회(29세 이하 1회, 30~34세 2회, 35~49세 3회)
- 소득수준 및 거주지역 : 제한없이 전국 지원
지원 검사 항목 및 혜택
검사대상 | 검사항목 | 지원금액 |
여성 | 난소기능검사(AMH) + 부인과 초음파(자궁, 난소 등) | 최대 13만원 |
남성 | 정액검사(정자정밀형태검사) | 최대 5만원 |
- 여성의 경우 난소 기능과 자궁근종 등 생식 건강 위험 요인을 조기에 파악 가능
- 남성은 난임 원인 중 약 40%를 차지하는 생식 건강 상태를 확인
지원절차
① 검사비 지원 신청(검사 희망자) ② 검사의뢰서 발급(보건소) ③ 검사 및 결과상담(사업참여 의료기관) ④ 검사비 청구(검사 희망자) ⑤ 검사비 지급(보건소) |
- 검사비 지원 신청 : e보건소 온라인 신청 또는 보건소 방문 신청일
- 검사의뢰서 발급 : 신청 접수 및 검사의뢰서 발급(시스템)
- 검사 및 결과상담 : 신청일로부터 3개월 이내 검사, 검사의뢰서 제시(필수), 의료기관 예약 후 방문(권고, 검사 시 매달 1일 수정되는 최신 현황 확인 필수!)
- 검사비 청구 : 보건소 또는 e보건소 청구(검사일로부터 1개월 이내 청구)
- 검사비 지급 : 제출서류 확인 후 검사비 지급(청구일로부터 3개월 이내 지급)
지원신청 방법
- 신청 서류 : 신청서, 개인정보제공동의서, 주민등록등본(온라인 신청 시 제출서류 없음)
- 청구 서류 : 청구서, 외래 진료비 계산서·영수증, 진료비 세부산정내역, 본인명의 통장사본
제출 방법
- 관할 보건소 방문 제출(배우자 대리 가능)
- e보건소 온라인 제출 : jpg, pdf 형식의 파일 첨부
전문가들은 당장 임신 계획이 없더라도 예방 차원에서 검사를 권장하고 있으며, 임신을 미루는 부부일수록 건강 상태를 미리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위한 첫걸음으로 정부 지원 가임력 검사로 부담 없이 건강을 점검하세요!
임신 준비는 부부가 함께 건강을 관리하며 계획적으로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니까요.
'트렌드 & 라이프스타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화성특례시 정월대보름 축제 안내 (1) | 2025.02.06 |
---|---|
건강한 줄 알았던 살찌는 음식들, 왜 그런 걸까? (2) | 2025.02.05 |
코스트코 연회비 최대 15% 인상, 5월 1일부터 적용 (1) | 2025.02.04 |
대퇴사 끝, 이제는 대잔류! 왜 모두 떠나지 않고 남으려 할까? (2) | 2025.02.03 |
행복은 연결이 아니라 단절에 있다? 조모(JOMO)의 매력 (4) | 2025.01.31 |
미래의 슬로 트래블: 환경, 기술, 그리고 인간의 조화 (1) | 2025.01.23 |
팬데믹 이후의 여행 트렌드: 왜 슬로 트래블이 주목받는가? (1) | 2025.01.23 |
현대인의 스트레스를 줄이는 슬로 트래블의 마법 (1) | 2025.01.23 |